청년 월세지원금 최대 200만 원을 서울시에서 지원합니다. 정부는 청년 월세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2022년 6월 28일부터 서울시 청년 월세지원 사업 모집을 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서울시 우리나라 수도, 전국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를 위해 서울에 자리를 잡습니다. 서울 생활에서 주거비가 적지 않아 청년들의 열정에 찬물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청년들의 열정을 더욱더 뜨겁게 해 줄 수 있는 월 20만 원, 최장 10개월이라는 지원으로 뜨거운 사업인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사업입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대상(자격요건)
신청일 기준일로 서울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서 실제 거주하여야 합니다. 만 19세 ~ 39세(주민등록 상 출생연도 1982년~2003년) 청년층으로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입니다. 임차 현황으로는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 이하 건물이고 당연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주민등록(전입), 실거주
- 신청연도 2022년 기준 만 19세 ~ 만 39세(1982년생 ~ 2003년생)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1인 청년 가구(아래 참고)
-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 월세 60만 원 이하
- 무주택자
2022년 올해는 신청 나이를 '신청일 기준이 아니고 '연도 기준'으로 완화하였습니다. 신청일 전 생일이거나 아직 생일이 되지 않아 신청 못하는 사례를 없도록 했습니다.
현재 청년 요건의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도 지원 가능합니다. 2인 이상 가구지만 셰어하우스 성격으로 임대인과 개별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임대차계약서를 기준으로 임차건물에 당연 주민등록 등재되어야 합니다. 부모, 형제, 친구 등 타인 명의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신청이 안됩니다.
신청인이 속한 가구이 2022년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고려합니다. 기준중위소득 150%이하(세전기준)입니다. 신청인이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일 경우(부모 등의 세대원 소속) 부양자(부모)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2022년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건강보험료 부과액>
직장가입자 : 102,842월
지역가입자 : 77,067원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제외대상
일반재산 총 1억 원 초과하는 경우, 주택 소유자,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 보유자가 제외됩니다. 차량 시가 표준액 2,500만 원 이상의 차량 소유자, 공공 임대주택 거주 청년 등도 제외됩니다.
※일반재산 : 토지, 건물 과세표준액, 차량 시가표준액, 임차보증금 등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서울시 청년수당을 받고 있는 경우도 신청 제외입니다.
단, 교육급여 수급자, 서울형 주택바우처, 각종 공공 전세대출 및 이자 지원을 받고 있는 청년은 신청 가능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신청방법(방문 및 우편 신청 불가)
신청은 22년 6월 28일 오전 10시 ~ 7월 7일 오후 6시까지(10일간)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주거포털
서울주거포털,Home, 서울시 청년월세, 청년 월세지원, 서울주거포털은 서울시의 주거정책 및 분양/임대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내게 맞는 서울시의 주거복지 서비스를 찾아보세요.
housing.seoul.go.kr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제출서류
온라인 신청인만큼 모든 서류는 가급적 PDF 파일로 저장하여 첨부하여야 합니다. 사전에 미리 준비하여 신청 당일 수고로움을 더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선정방법
서울시에서는 월세, 임차보증금 및 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4개 구간으로 나눴습니다. 4개 구간의 청년월세 대상자를 선발합니다. 선전 인원이 초과되는 경우 구간별 무작위 추첨합니다.(선착순 신청이 아닙니다.)
현실적으로 주거비 부담을 크게 느끼는 청년의 고충을 반영하기 위해 고민하였습니다.
<보증금 1천만 원 이하, 월세 50만 원 이하> 구간에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했습니다. 지원 대상의 75%인 15,000명입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선정 발표
소득재산 기준, 자격요건 등을 면밀히 조사 검토하여 8월 말에 최종 지원대상을 선정, 발표할 예정입니다. 다가오는 10월 초부터 격월로 지원할 예정이며 올해 지원분에 대해서는 10~12월 3개월분을 일괄 지급한다고 합니다.
※ 지원금 혜택 중 타 지역, 전출, 월세 없는 전세로 이주, 공공임대 지원 시에는 지원이 중단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참고 문서(서식)
긴급 생활안정지원금(6월 신청, 지급 최대 145만원)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 중 저소득층 가구에 '긴급 생활안정지원금'가 있습니다. 저소득층 가구에 생계지원금을 주는 정책입니다. 6월 신청이며 지급 시기, 최대 금액 145만 원까지 저소득층
willgosteadly.tistory.com
2022년 다자녀 혜택 놓치지 않기(2자녀부터 확대)
다자녀가구(가정)는 보통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를 말했습니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다자녀가구의 기준을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로 변하는 추세입니다. 지자체 개별 법령, 정책
willgosteadly.tistory.com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매뉴얼(신청 대상, 언제 지급)
2022년 5월 29일 밤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추경입니다. 5월 30일부터 30일은 사업자번호 끝자리 짝수, 31일 홀수로 나누어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합
willgosteadly.tistory.com
미취업청년 취업장려금 50만원 신청 마감 임박!!(서울시)
서울시와 전국 지자체에서 청년들을 위한 취업장려금을 지급합니다. 코로나 영향과 경제 상황 원인으로 구직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미취업 청년들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서울시는 50
willgosteadly.tistory.com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신청기간 마감 긴박
각 중소도시 청년들이 꿈을 위해 서울로 갑니다. 서울에서 발에 땀이 나도록 꿈을 좇는 청년들에게는 대중교통비 지출도 적지 않습니다.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신청 기간 마감이 긴
willgosteadly.tistory.com
댓글